본문 바로가기

❤️ 두근두근,가을날

2023년 일본의 설날과 나카무라


새해가 밝았다.
2023년은 많은 이별들이 비엔나처럼 줄줄이 대기 중이다. 그래서 섭섭함과 쓸쓸함과 함께한 설날이었다. 근데 이별들로 난 빈자리에 들어설 또 다른 만남들에 대한 기대감도 부록처럼 딸려왔더라.

모든 이별들이 다 일본인 지인들과의 이별이다.
일본애들과는 이별이 없을거라 생각했건만 방심했다.


그 이별들 중 가장 큰 허전함을 남길 나카무라와의 이별.

그녀는 올해 결혼이주자로 하와이로 간다.
결혼이민자... 즉 평생을 거기서 산다는 소리다.
틈틈이 만나 일에 관한 고민들을 함께 나누고 산도 타고 샘플 사진도 찍으로 다니던 친구가 내 일본 삶에서 사라질 예정.


나카무라가 일본 남자와 결혼해서 일본에서 평생을 살 것 같지 않다는 건 나도 본인도 어렴풋이 나카무라스럽진 않다는 건 알았다. 그녀의 말을 빌려 보자면 그녀는 일본 남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여성상이다. 어떤 일본 남자는 자립적인 나카무라를 부담스러워 하며 나는 당신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없을 거 같다라며 관계을 정리했단다. 누가 행복하게 해 달랬니?라며 나카무라도 일본남자를 한심하게 여겼다. 아 참고로 나는 일본남자랑 산다.

그래도 진짜 외국 국적의 남자와 결혼을 하고 해외에서 삶의 터전을 옮겨갈 줄이야…
나카무라다운 전개다.


일단 수다보따리 풀러 @오오미야역 근처 스타벅스


남친은 하와이 출신의 일본계 미국인이다.

나고 자란 곳의 영향인지 그녀의 남친은 아주 알로하스러운 부담스럽지 않게 상냥한 사람이었다.
그래서 먼 타국땅으로 시집가는 친구 걱정은 안 되는데 그녀가 빠진 내 일상의 구멍이 벌써 쓸쓸하다..

그래서 만날 수 있을 때라도 많이 많이 만나 두고 싶은 마음에 새해 첫날에 사이타마 오오미야大宮에 갔다.


일본의 설풍경


구정을 쇠는 한국과 다르게 일본은 신정을 쇤다.
1월 1월은 元旦이라고 불리며 일본에서는 가장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다. 하츠모-데初詣라는 한 해의 첫 참배를 하러 신사나 절에 사람들이 모여 설날의 분위기를 맛본다.
야타이屋台라고 하는 노점들이 신사 입구 쪽이나 근처에서 판을 벌려 축체 분위기를 북돋는다. 긴 줄을 기다렸다가 참배를 하고, 노점에서 타코야키, 야키소바등을 사서 추운 겨울 공기 속에서 후들후들 떨며 먹지만 그게 일본 설날의 맛이다. 너무 춥다 싶으면 아마자케甘酒(단술)를 마시고 몸을 녹이는 맛도 꽤 괜찮다.

일본의 설풍경


하츠모-데란 한 해의 첫 참배로 소원이나 건강 등을 비는 전통적 행사 같은 거다.
참배를 하기 위해서는 긴 줄을 서서 짧게는 1.2시간은 기다려야 하는데 유명한 신사는 더 많이 가디려야한다.
코로나 전에는 하츠모-데로 유명한 절이나 신사에는 전날 저녁부터 모여 카운트다운도 하며 해를 보내고 해를 맞이하며 즐겼었는데 코로나 때 잠시 참배 자체가 중단되거나 제한되어 행해지다가 올해는 많이 풀린 분위기다.

나는 참배를 하지 않기 때문에 하츠모-데를 하러 간다고는 하지 못하지만, 그래도 매번 새해가 되면 신사에 가서 새해의 분위기는 꼬박꼬박 맛을 보고 있다. 올 설날은 날이 너무 따뜻했다. 연초가 쭉 따뜻했다. 그래서 새해 맛이 반감되는 것도 있었다. 설은 추워야 맛이 나는데 말이다.. 추웠으면 더 맛있게 느껴지는 아마자케甘酒 [우리나라 말로는 단술이라고 할 수 있지만, 한국의 단술과는 좀 다르다. 거의 달지 않다. 그리고 술이 들어간 게 있고 들어가지 않은 것이 있다]도 마셔 주었다. 물론 따뜻한 오만쥬는 필수다(강조).

이곳 아마자케는 술이 안 들어가서 먹을 수 있었다. 담백한 맛이었다. 이런 심심한 게 맛있게 느껴지기 시작했다. 나이탓은 아니라고 믿고 싶다.

일본의 설 풍경_오만쥬..💛


한 살 한 살 먹어가면서 한 사람 한사람 인연이 얼마나 애틋한지 모르겠다.
헤어짐이 아쉽고 만남이 반갑고 그런 인연이 몇몇만 있어도 일 년이란 시간을 따뜻하게 살아갈 수 있다. 

 

이 아름다운 석양이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요....?


하와이에서의 재회를 기다리며 잠시 안녕이다.



반응형